역사
고대 시대: 카이사르 암호(문자를 일정 간격으로 밀어 변환)
중세 시대: 스테가노그래피(글자 사이에 숨겨진 메시지)
20세기: 에니그마(제2차 세계대전 당시 독일군 암호)
현대: 대칭키 암호(AES), 비대칭키 암호(RSA), 양자 암호기술
암호기술은 중요한 정보를 읽기 어려운 값으로 변환하여 제 3자가 볼 수 없도록 하는 기술이다.
암호기술의 안전성은 수학적인 원리에 기반하며, 보안에 있어서 중요한 정보를 직접적으로 보호하는 원천기술이다.
고대 시대: 카이사르 암호(문자를 일정 간격으로 밀어 변환)
중세 시대: 스테가노그래피(글자 사이에 숨겨진 메시지)
20세기: 에니그마(제2차 세계대전 당시 독일군 암호)
현대: 대칭키 암호(AES), 비대칭키 암호(RSA), 양자 암호기술
기밀성(Confidentiality) – 허락되지 않은 사용자 또는 객체가 정보의 내용을 알 수 없도록 한다
무결성(Integrity) – 허락되지 않은 사용자가 정보를 함부로 수정할 수 없도록 한다
인증(Authentication) – 사용자의 신원을 확인한다
부인방지(Non-repudiation) – 송·수신자가 자신이 한 행위를 부인하지 못하도록 한다
|
암호화하고자 하는 문자를 일정한 간격으로 이동시켜 다른 문자로 바꾸는 암호화 방식이다. |
![]() |
|
암호화하고자 하는 평문의 각 문자를 다른 문자나 기호로 대체하여 암호문을 생성하는 암호화 방식이다. |
![]() |
|
에니그마는 수수께끼를 뜻하는 그리스어로, 제2차 세계대전 당시 독일군이 군사 통신을 보호하기 위해 사용한 전기 기계식 암호 장치이다.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