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I

개념


인공지능 또는 AI는 인간의 학습 능력, 추론 능력, 지각 능력을 인공적으로 구현시키는 컴퓨터과학의 한 분야이다. 자연어의 이해, 음성 번역, 로보틱스, 인공 시각, 문제 해결, 학습과 지식 획득, 인지 과학 등에 응용된다. 지능을 갖고 있는 기능을 갖춘 컴퓨터 시스템이며, 인간의 지능을 기계등에 인공적으로 구현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범용 컴퓨터에 적용한다고 가정한다. 이 용어는 또한 그와 같은 지능을 만들 수 있는 방법론이나 실현 가능성 등을 연구하는 과학 기술 분야를 지칭하기도 한다.

역사


연도역사
1950년대 초반앨런 튜링이 "컴퓨터는 사고할 수 있는가?"라는 논문을 발표하여 인공지능의 개념을 제시했다.
1956년다트머스 회의에서 인공지능 분야의 초석이 마련되었다. 이 회의는 인공지능 연구의 탄생을 알리는 중요한 이벤트였다. 이 회의는 존 매카시와 함께 이끌었다.
1960년대이 시기에는 기호주의 인공지능이 주류를 이루었다. 프로그래머는 기호 및 규칙을 사용해 컴퓨터에게 지식을 제공했다. 대표적인 프로그래밍 언어로는 LISP가 있다.
1970년대 후반이 시기에는 전문가 시스템의 개발이 활발하게 진행되었다. 전문가 시스템은 특정 분야의 전문가 수준의 지식을 가진 프로그램이다. 그래서 의료, 금융, 제조 등 다양한 분야에서 사용되었다.
1980년대이 시기에는 연결주의 인공지능이 떠올랐다. 그러면서 신경망과 관련된 연구가 활발해졌고, 역전파 알고리즘이 처음 소개되었다.
1990년대이 시기에는 컴퓨터의 성능이 향상되면서 머신 러닝 기술이 다시 주목받게 되었다. 서포트 벡터 머신과 같은 알고리즘이 등장하였으며 머신 러닝의 활용 영역이 확대 되었다.
2000년대 이후이 시기에는 딥 러닝이 떠올랐다. 대규모 데이터셋과 GPU와 같은 고성능 컴퓨팅 자원 발전으로 심층 신경망이 효과적으로 학습될 수 있게 되었다. 딥 러닝은 컴퓨터 비전, 자연어 처리, 음성 인식 등 다양한 분야에서 혁신적인 성과를 이루었다.


기술적 측면


머신 러닝


딥 러닝


자연어 처리


컴퓨터 비전


응용


자율 주행 자동차


의료 진단


자연어 처리


금융 서비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