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자 화폐 (암호화폐): 디지털 형태의 화폐이며 블록체인 기술을 활용해서 중앙 기관 없이 거래가 가능
P2P: 중앙 서버 없이 참여자들이 직접 데이터를 주고받는 네트워크 방식
전자서명: 전자 문서에 대한 신원을 증명하고 무결성을 보장하는 암호학적 서명
이중지불: 동일한 디지털 화폐를 두 번 이상 사용하는 것
해시함수: 임의의 입력값을 고정된 길이의 출력값(해시)으로 변환하는 함수
해시 기반 작업 증명: 특정 해시 값을 찾기 위해 많은 연산을 수행하는 방식
원장: 거래 내역이 기록된 문서
분산원장: 중앙 기관 없이 네트워크 참여자들이 공동으로 관리하는 원장
브로드캐스팅: 네트워크 안에서 하나의 노드가 전송한 데이터를 모든 노드에 전달하는 방식
거래: 사용자 간 자산(암호화폐 등)의 전송을 의미
제네시스 블록: 블록체인의 가장 첫 번째 블록
블록체인에 새로운 블록이 추가되는 과정
합의 알고리즘: 블록체인 네트워크에서 참여자들이 하나의 유효한 블록을 결정하는 방법
노드: 네트워크에 참여하는 컴퓨터 또는 장치
블록체인 네트워크: 노드들이 서로 연결된 네트워크(P2P 방식 적용이 기본)
무결성: 데이터가 변조되지 않고 원래 상태 그대로 유지되는 성질
해시값: 해시함수의 출력값을 해시값
해시함수의 일방향성: 한 번 해시된 값을 원래 입력값으로 되돌릴 수 없는 특성
해시함수의 충돌회피성: 서로 다른 두 입력값이 같은 해시값을 가지는 충돌을 회피하는 특성
솔트: 해시 함수에 추가되는 무작위 데이터
해시캐시: 자주 사용하는 콘텐츠를 컴퓨터에 저장해두어 인터넷 접속 없이 이용할 수 있는 기술이며, 이메일 스팸 및 서비스 거부 공격을 제한하는 데 사용되는 작업 증명 시스템
해시 캐시 난이도: 원하는 해시값의 선행 0의 개수를 의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