빅데이터

빅데이터란 디지털 환경에서 생성되는 데이터를 말하는데, 규모가 방대하고, 생성 주기도 짧으며, 형태도 수치 데이터뿐 아니라 문자와 영상 데이터를 전부 포함하는 대규모의 데이터입니다. 과거에 비해 데이터의 양이 폭증했다는 점과 함께 데이터의 종류도 다양해져, 현재는 빅데이터를 활용해 사람들의 행동은 물론 위치정보와 SNS를 통해 생각과 의견까지 분석하고 예측할 수 있습니다.

역사

컴퓨터나 스마트폰 사용의 증가로 디지털 환경이 조성되면서, 사용되는 정보의 양과 규모가 엄청나게 증가했습니다. 또한 빨리 만들어졌다 없어지기를 반복하고, 숫자 데이터, 문자 데이터, 동영상 등 그 형태도 다양해졌습니다. 이와 같은 대규모의 데이터를 ‘빅데이터’라고 부르는데, 인터넷 검색 기록, 동영상 조회 기록, SNS에 올리는 글의 내용 등의 방대한 데이터를 분석하여 각 사람의 취향, 취미, 생각과 의견까지 추측하고 맞춤 서비스를 제공해줍니다.

picture1 사진없음

특징

빅데이터의 특징으로는 크기(Volume), 속도(Velocity), 다양성(Variety)을 들 수 있습니다. 크기는 일반적으로 수십 테라 바이트 혹은 수십 페타바이트 이상 규모의 데이터 속성을 의미합니다. 속도는 대용량의 데이터를 빠르게 처리하고 분석할 수 있는 속성으로, 실시간으로 저장, 유통, 수집, 분석처리가 가능한 성능을 의미합니다. 다양성(Variety)은 다양한 종류의 데이터를 의미하며 정형화의 종류에 따라 정형, 반정형, 비정형 데이터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3v 사진없음

쇼핑분야

소비자의 과거 구매 이력, SNS 메시지, 현재 위치 등의 정보를 통해 최적 상품 및 구매 조건을 실시간으로 제시합니다. 또는 광고, 이벤트 등의 마케팅 활동에 대한 소비자 반응을 실시간으로 평가하여 대응합니다.

1사진없음

의료분야

의료 정보(R&D, 치료, 진료비)와 환자의 일반 정보(생활 습관, 기호품 등)를 통해 신약을 개발하거나, 질병을 조기 진단합니다. 개인의 게놈(Genome) 데이터를 분석하여 개인별 맞춤 약품을 개발하고 처방합니다.

2사진없음

인프라분야

스마트폰, 차량 내비게이션 위치 등을 활용하여 실시간 최적 경로를 제시합니다. 과거의 기후/날씨 정보, 전력 사용 패턴 등의 정보를 활용하여 실시간 전력 요금을 설계하고, 발전 설비 건설 계획을 수립합니다.

3사진없음

보안분야

방대한 분량으로 축적된 로그 데이터의 실시간 처리 및 분석을 통해 사이버 공격과 데이터 유출 패턴을 검색합니다. 또한 최근에는 빅데이터 기술을 통해 아직 경찰청 등에 신고되지 않은 보이스피싱 의심번호를 탐지해, 해당 번호를 수신한 고객에게 보이스피싱 의심번호임을 알려줘 범죄행위를 예방할 수 있는 방안을 마련했습니다.

4사진없음

Copyright 2020 by Park Seo Ye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