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터넷

인터넷 프로토콜 스위트(TCP/IP)를 기반으로 하여 전 세계적으로 연결된 컴퓨터 네트워크를 일컫는 말이다.
그야말로 인류 역사상 전례 없는 거대한 정보의 바다인 셈이다.
인터넷하면 흔히 웹이라고 줄여 부르는 월드 와이드 웹만 생각하기 쉽지만
인터넷은 월드 와이드 웹, 전자 메일, 파일 공유(토렌트, eMule 등), 웹캠, 동영상 스트리밍, 온라인 게임, VoIP, 모바일 앱 등 다양한 서비스들을 포함한다.

목차

인터넷의 역사

인터넷의 역사는 1950년대에 컴퓨터의 개발과 더불어 시작하였다. 메인프레임 컴퓨터와 단말기 간의 점대점 통신과 더불어 개시되었고 컴퓨터 간 점대점 연결로, 그 뒤 초기 연구가 패킷 교환으로 확장되었다.

폴 바란이 개발했다. 아파넷, 영국 NPL의 마크 I, CYCLADES, 메리트 네트워크, 타임넷, 텔레넷과 같은 패킷 교환망은 1960년대 말과 1970년대 초에 다양한 프로토콜을 이용하여 개발되었다. 아파넷으로 말미암아 특히 인터네트워킹을 위한 프로토콜이 개발되었으며 여기서 서로 떨어진 여러 개의 망들이 여러 네트워크의 한 네트워크로 함께 결합할 수 있었다.

1981년 미국 국립과학재단(NSF)이 CSNET(컴퓨터 과학망)을 개발하면서 아파넷으로의 접속이 확장되었으며 1982년 인터넷 프로토콜 스위트 (TCP/IP)가 표준화되었고 인터넷이라 불리는, 완전히 상호 연결되는 TCP/IP 네트워크의 월드 와이드 네트워크의 개념이 등장하였다. 1986년 NSFNET이 미국의 연구 및 교육 단체의 슈퍼컴퓨터 사이트에 접속을 제공했다. 상용 인터넷 서비스 제공자(ISP)들이 1980년대 말과 1990년대에 병합을 시작하였다. 아파넷은 1990년에 직권이 해제되었다. 인터넷은 NSFNET의 직권이 해제된 1995년에 시장에 들어왔으며, 이로써 상용 트래픽을 전달하기 위한 인터넷 사용의 마지막 제한이 제거되었다.

1990년대 중순 이후로 인터넷은 문화와 상업에 막대한 영향을 미쳤다. 이는 전자메일, 인스턴트 메신저, VoIP 전화, 화상 통화뿐 아니라, 토론 포럼, 블로그, 소셜 네트워크, 온라인 쇼핑 사이트를 포함한 월드 와이드 웹을 아우른다.

원격통신 기술이 발달함에 따라 인터넷은 전 세계적인 통신망이 되었다. 이제 모든 나라의 대학·기업·개인 이용자들이 하나의 통신망 속에 있게 되었다. 인터넷을 통해 중요한 화젯거리에 대한 여론이 형성되기도 하는데, 여기에 참여하는 사람들은 지리상으로는 서로 멀리 떨어져 있지만 신속하게 정보를 공유할 수 있기 때문에 영향력을 크게 발휘할 수도 있다. 또한 인터넷에서는 색다르고 환상적인 등장인물이 나오는 컴퓨터 게임도 인기가 많다. 특히 인터넷의 여러 기능 가운데 소프트웨어 보급 기능은 날이 갈수록 중요해지고 있다. 인터넷 이용자들은 인터넷에서 제공되는 프로그램들을 전송받아 자신의 컴퓨터에서 사용할 수 있기 때문이다.

전송되는 데이터의 양이 늘어남에 따라 1Gbit/초, 10Gbit/초 등의 더 빠른 속도의 광 네트워크가 충당되었다.

월드 와이드 웹

1989년 12월 16일에 개발되고 1990년 12월 20일에 발표 및 보급된 월드 와이드 웹(World Wide Web, WWW, W3)은 인터넷에 연결된 컴퓨터를 이용해 사람들과 정보를 공유할 수 있는 거미줄(Web)처럼 얼기설기 엮인 공간을 뜻하는 용어다. HTTP 프로토콜을 기반으로 HTML로 작성된 하이퍼텍스트 페이지를 웹 브라우저라는 특정한 프로그램으로 읽을 수 있게 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WWW, W3, 또는 간단하게 웹(Web)이라고도 한다. 일반인에게 인터넷이 보급되기 시작한 1994년부터 사실상 인터넷과 동의어 취급할 정도로 가장 널리 보급된 인터넷 시스템이다. 일반인들에게 인터넷 한다는 게 뭐냐고 물어보면 대다수는 웹 브라우저 켜고 웹 서핑하는 것이라고 대답할 것이다.

하이퍼링크, 하이퍼텍스트

우리는 너무 흔하게 사용하여 미처 생각하지 못하는 것이 있는데 바로 하이퍼링크(Hyperlink)이다. 앞에서 상술한 인터넷의 역사, 특히 WWW 문단을 보면 원래 WWW은 학술 자료 열람용이었다고 되어 있는데 영미권의 학술 자료에서 가장 중요한 것은 바로 인용이다. 한 자료가 얼마나 권위가 있냐를 따지거나 심지어 한 대학을 평가할 때도 이 인용 횟수를 따질 정도이니까. 특히 이러한 인용을 참고하여 만든 것이 바로 구글의 페이지 랭크이다. 각설하고, 이러한 인용은 책에서 각주나 책 뒷장에 몰아 실릴 수 밖에 없게 되는데 이를 극복한 것이 바로 하이퍼링크이다. 즉, 하이퍼링크는 애초에 인용을 전자식으로 각색한 것이라 하겠다. 이러한 하이퍼링크를 담고 있는 것을 하이퍼텍스트라고 부른다.

인터넷의 혁명

인터넷의 태동은 소위 '인터넷 혁명' 이라고도 한다. 혁명이라는 단어에서 의미하듯 인터넷 시대로의 진입은 이제껏 인류사회에 없던 거대한 변화를 이루어냈다. 불과 20년전만 해도 외국 사람과 교류할 수 있는 수단은 국제 전화라든가 편지 등의 수단 뿐이었고, 그마저도 극히 제한적이었다. 그러나 현재의 인류는 침대에 누워 지구 반대편에 위치한 사람과 실시간으로 대화를 주고 받을 수 있을 정도의 경지에 도달했다. 이는 항공술의 발달 이후 태동한 '지구촌'의 개념을 더욱 현실화 시켜주었다. 때문에 농업 혁명, 산업 혁명과 함께 인터넷 혁명이라고 말하는 학자들의 말은 결코 과장이 아닐 것이다.

나라별 인터넷 속도 순위

>
순위국가2016년 2분기 평균 속도 (Mbps)속도 등락 (전분기 비교)속도 등락(전년 비교)
-세계 평균6.1-2.3%14%
1대한민국27.0-7.2%17%
2노르웨이20.1-5.8%55%
3홍콩19.5-1.9%15%
4스웨덴18.8-8.8%19%
5스위스18.3-1.9%17%
6핀란드17.6-0.6%26%
7라트비아17.5-4.5%23%
8싱가포르17.24.5%27%
9일본17.1-5.7%5.1%
10아이슬란드17.0-2.6%4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