텔레비전

전파신호를 받아 그것을 영상으로 보여주는 전자기기. Television이란 명칭은 '원격의', '멀리 떨어진'이라는 뜻의 그리스어 접두사 'tele-'와 '시야', '화상'을 뜻하는 'vision'의 합성어다. 줄여서 흔히 TV라고도 한다.

역사

텔레비전을 최초로 상업화한 사람은 영국의 기술자인 존 베어드(John L. Baird, 1888~1946)였다. 그는 1925년에 니프코브 원판과 브라운관을 활용하여 “텔레바이저”로 불린 기계식 텔레비전을 개발하였다.

기계식

TV의 시작은 셀레늄이 광전효과, 즉 빛을 받으면 전기가 흐르는 효과를 아일랜드의 전신기사 조지프 메이가 발견하면서 시작되었다고 볼 수 있다. 이후 이 원리를 이용하여 셀레늄판을 이용 빛을 셀리늄판에 투과시켜 빛을 전자신호로 바꾸고 역으로 과정을 거처서 빛을 발산하여 화면을 보이게 하는 기술을 알렉산더 베인이 개발하였으나 이것은 전자식이 아닌 기계식으로만 동작했기 때문에 단일사진만 보낼 수 있었다.

전자식

카를 페르디난트 브라운이 1897년에 전자를 쏘아서 형광 물질을 때리게끔 하여 형상을 나타내게 하는 브라운관을 발명한다. 그 후 1926년, 일본의 다카야나기 겐지로가 세계 최초로 전자식 기법이 적용된 브라운관 텔레비전을 발명하고 미국의 필로 판스워스가 1927년에 완전한 브라운관 텔레비전을 개발하면서 우리가 잘 아는 화면이 볼록한 TV가 등장하였다. 이후 1936년 BBC를 시작으로 방송국들이 브라운관용 TV 방송을 선택하면서 기계식 TV는 3년 뒤인 1939년에 완전히 사라졌다.

텔레비전 방송

1929년 BBC에서 최초로 기계식 TV방송이 시작되었다.

컬러

컬러 텔레비전 방송은 이미 기계식 텔레비전 시기부터 시도되었다. 존 로지 베어드는 1928년 7월 3일 삼원색을 이용한 세 개의 닙코프 디스크를 조합하여 컬러 영상을 송출하는 기계식 텔레비전 방송을 시연하였고, 1938년 2월 영국의 도미니언 극장에서 210개의 라인으로 된 최초의 컬러 텔레비전 방송을 송출하였다.

디지털

디지털 텔레비전은 동영상을 디지털 방식으로 변조하여 송출하는 텔레비전 기술이다. 기존의 아날로그 방식으로 송출되던 텔레비전 신호와 변조 방식이 다르기 때문에 시청을 위해서는 디지털 신호를 복조할 수 있는 수상기나 별도의 복조 장치가 필요하다

이미지

이미지샘플
구형티비 최신티비 미래형티비